2013년 12월 17일 화요일

옷자락에서 전해지는 사랑 _ 노래 공현석

몇일 전에 있었던 성가대 송년모임에서 아내의 반주로 조촐한 무대에 섰던 영상. 연말에다 사업상 바쁜 와중에 아내와 조금씩 연습해서 설 수 있었던 자리여서 더 좋았고 행복했습니다. 그리고 무대에 오를때마다 긴장되고 실수도 있었지만 너무 분위기 짱이었습니다..^^

2013년 12월 13일 금요일

'아우슈비츠 안에서도 행복했다' 그리고 향수..

케르테스의 소설 '운명(원제목은 '운명은 없다')은 15세 유대인 소년 죄르지의 시점에서 바라본  아우슈비츠 안의 삶을 얘기한다. '폐부를 찌르는 듯한 고통스럽고 무상한 감정이 엄습했다. 향수였다…그래, 어떤 의미에서는 그곳의 삶이 좀더 순수하고 단순했다. 모든 것이 다시 떠올랐고, 모든 사람들에 대한 기억이 순서대로 아른거렸다…그래, 난 사람들이 내게 묻는다면 다음엔 강제수용소의 행복에 대해서 말할 것이다’.... 여기 소년이 말하는 향수는 어떠한 향수일까?
http://user.chol.com/~g6546/Das_Heimweh.mp3

2013년 12월 12일 목요일

겨울엔 냉면.. 성탄절엔 수난곡?

가끔 한 겨울에 냉면이 땡기는 것과 같이.. 성탄 분위기 가득한 12월에도 수난곡이 듣고 싶어질때가 있다.. 특히 오늘같이 함박눈이 내리는 날은 더욱 그렇다.. 영국 작곡가 Gerald Finzi의 합창음악은 항상 감동을 주지만 특히 Lo, the full final sacrifice 는 하얀 눈이 온 세상을 깨끗하게 정화시켜주는 듯한 그런 감동을 준다.. 특히 마지막 1분여간의 Amen 송은 천국에 있는 느낌마저 든다... 물론 나만..^^
http://user.chol.com/~g6546/Finzi_Amen.mp3

2013년 12월 10일 화요일

동행(同行), Going Together - Word and Music by 오택주

동행(同行)... Going Together.. 울 교회 오택주 강도사님은 참으로 다재다능 하신 것 같아요.. 이렇게 아름다운 곡을 작사와 더불어 작곡까지..^^ 강동원 형님께서 앰프와 기타까정 들고 저희 사무실에 내방 하셨길래 녹음 한 번 해봤습니다.. 둘 다 이 곡을 처음 맞춰 보는 것이니 조금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이해하고 들으시길.. 혹 악보가 필요하신 분은 이리중앙교회 오택주 강도사님께 문의하세요~~ㅎ


2013년 12월 2일 월요일

위대한 작곡가 바흐(J.S.Bach)는 베끼기 왕?

벌써 12월.. 그리고 얼마남지 않은 크리스마스.. 이맘 때면 어김없이 바흐(J.S.Bach)의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와 헨델(G.F.Handel)의 오라토리오 '메시아'가 연주되어진다. '메시아'의 몇몇 대목이, 기존 작품에 바탕을 두고 작곡되어졌다는 사실은 24일만에 작곡되어진 결과를 두고 보면 그리 놀랄 만한 일도 아니다. 칸타타 6개를 묶은 바흐의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의 몇몇 곡도 기존 '세속 칸타타(Secular Cantatas)'에서 조성만 달랐지 똑같이 베껴와(?) 만들었다.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8번째 곡인 '위대한 주님, 강한 왕이여(Großer Herr, o starker König)는 'Maria Jasepha 여왕'의 탄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작곡한 칸타타(BWV214)의 7번째 곡 'Kron und Preis gekrönter Damen'에서 가져온 곡이고, 오라토리오의 19번째 곡인 '잘 자라, 나의 사랑(Schlafe, mein Liebster)'은 그리스의 영웅 헤라클레스의 이야기인 세속 칸타타(BWV213) 3번째 곡 'Schlafe, mein Liebster'에서 따온 곡으로서 이 곡은 제목 또한 똑같다. 여왕의 탄생과 헤라클레스의 쾌락 이야기를 아기 예수의 탄생과 같은 맥락에서 취급한(?) 바흐의 곡 선정은, 단지 바쁜 작곡일정을 맞추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는지, 아니면 그렇다 하더라도 진실로 신앙적인 감동의 산물이었는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ㅠㅠ 결정적으로 바흐 휴대폰 번호를 모르니 물어 볼 수도 없고... 혹 안다 해도 어제부터 강제로 010으로 바뀌었는지도...^^ 영상은 '디트리히 헨셀'이 부르는 '위대한 주님, 강한 왕이여'.. 즐감 하세요~~~

2013년 11월 26일 화요일

눈 오는 날의 음악.. Contrapunctus 1(바흐, '푸가의 기법' 中)..

오전 내 배경음악으로 깔리는 '푸가의 기법(The Art of Fugue)은 몇 일전부터 옻이 올라 먹고 있는 약 기운 덕분인지 더욱 평상심(平常心)을 찾게 해준다.. 다른 뜻으로 풀자면 졸리다는 얘기..^^ 항상 도전적인(?) 음악들을 내세우는 ECM社의 음반에 손이 닿았다.. 첫 곡부터 다운되긴 하지만, 프로메테우스 사중주단을 통해 음악의 다른 모습을 보게 되는(Reinvent) 바흐 '푸가의 기법' 중 Contrapunctus(대선율) Ⅰ은, 오늘같이 눈이 펑펑 내리는 날씨와 오묘하게도 잘 어울린다.. 들어볼 만한 음반..

http://user.chol.com/~g6546/Contrapunctus1_Bach_Scodanibbio.mp3

2013년 11월 8일 금요일

쓸쓸한 가을날 듣는 클라리넷(clarinet)과의 만남..

가을하면 브람스(Brahms)의 곡, 특히 클라리넷 곡을 많이 듣는 편이다. 하지만 오늘은 모처럼 음악외도를 했다. 아침 쌀쌀한 한기를 맞으며 출근하는 길에 듣는 아론 코플란드(Aaron Copland)의 클라리넷 협주곡은 떨어지는 낙엽을 밟는 발자국 소리에 맞추어, 클라리넷과 낙엽 밟는 소리의 이중협주곡이 되어 버렸다. 눈물만 더 떨어져 준다면 삼중협주곡이 될 듯..

http://user.chol.com/~g6546/copland_clarinet.mp3

2013년 10월 30일 수요일

만약 지휘자가 갑작스럽게 예정과 다른 협주곡을 연주한다면??

포르투갈 여류 피아니스트인 '피레스(Maria Joao Pires)가 연주하는 쇼팽 녹턴을 개인적으로 좋아한다. 연주가 외향적이지 않고 그녀의 몸 속에 품고 있는 느낌이기 때문이다. 암스테르담에서 있었던 런치 콘서트?(아마도 공개리허설이 아닐까 생각하지만)에서 지휘자인 리카르도 샤이(Riccardo Chailly)는 예정에 없었던(?)(아니면 피레스의 매니저가 잘못 알려 주었든지)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0번(D minor)을 연주하게 된다. 당황한 기색이 역력한 피레스는 해보겠다고는 하지만 굉장히 쇼크를 받은 느낌의 모습이다.(어떤 사람들은 이 장면을 연출된 쇼라고도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음) 하지만 짧은 전주 후에 이어지는 피레스의 연주를 듣고 있으면 진정한 프로의 모습을 보는 것 같은 느낌... 이 날의 전체 화면이 없어 아쉽긴 하지만, 피레스가 연주하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이 땡기는 것은 사실이다..^^ 3분 40초까지만 들으면 됩니다~~~ 말러 좋아하면 나머지도 들으시고..

2013년 10월 29일 화요일

Anja Harteros의 B플랫 피아니씨씨모..

소프라노 Anja Harteros가 부르는 간절한 기도문 같은 베르디 레퀴엠 'Libera me'..
132마디부터 합창과 함께 진행하는 피아니씨모도 훌륭하지만 170마디의 피아니씨씨모로 올리는 B플랫의 여린 고음은 이 음악의 백미다..ㅠㅠ 아~ 비타민씨 한알 먹어야지~ㅎ

2013년 10월 21일 월요일

지나치게 가벼운 게르하허(Gerhaher)의 말러 가곡..

게르하허(Christian Gerhaher)의 목소리는 아름답긴 한데 바리톤치고는 지나치게 가벼운 느낌이다. 이전 제롤드 후버(Gerold Huber)의 피아노 반주로 불렀던 말러 가곡의 느낌은 어디로 사라져 버렸는지, 아님 철저하게 지휘자 켄트 나가노(Kent Nagano)의 지시에 따른 것인지.. 말러 가곡을 이렇듯 가볍게 취급한 음반은 게르하허가 유일하지 않을까 싶다. 또한 왜 이리도 빠르게 불러대는지 Um Mitternacht(한밤 중에) 같은 경우는 이전 피아노 반주로 녹음한 음반보다 거의 1분 정도가 빠르다. '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 '뤼케르트 5개 가곡'을 묶어서 55분 안에 끝내자고 나가노와 작심한 듯 하다. 예쁜 목소리(?)로 노래는 잘 하지만 그 이상 느껴지는 열정도 감동도 없다. 게르하허 팬들께는 죄송하지만, 이렇듯 장난치면서 노래하는 듯한 음반을 접하면 일단 기분이 나쁘다. 왜냐하면 돈 주고 샀으니까..ㅠㅠ 이 음반을 디스카우(D.F.Dieskau)가 하늘에서 듣는다면 뭐라고 할까?

2013년 10월 8일 화요일

말러(G.Mahler) 교향곡 10번을 듣다가...

조성도 비브라토도 없는 비올라의 음울한 음형은 현대음악에 익숙치 않은 사람들에게는 죽음을 대하는 것 같은 기분 나쁜 선율일 수 있다. 그러나 17마디부터 본격적인 F#major 선율(1분10초부터)이 나오면 새로운 삶, 천국을 보는 느낌이다. 말러 교향곡 10번은 그렇게 시작된다..

http://user.chol.com/~g6546/Mahler_Sym10_1.mp3

2013년 8월 22일 목요일

바흐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프렐류드와 푸가 24번 B단조, 존 루이스(Piano)

강이 등을 돌리고 시간이 떠내려가는 그 강 언덕에서 내려다보면, 되돌아가야 할 열차 한 대가 또다시 헉헉대면서 그 푸르른 들판을 건너오고 있었고, 신생하는 시간에 의하여 버려지는 삶은 그 강력한 여름 산하에서 끝끝내 외로웠다. - 풍경과 상처(김훈) 中 -
 
오랜만에 보는 시원한 빗줄기.. 재즈 피아니스트 ‘존 루이스’가 연주하는 8분간의 바흐 선율이 마음에 따뜻한 위로를 준다.. 다른 연주자들에 비해 2~3배는 느리게 연주하지만... 느려 터져도 좋으리.. 느림의 미학이 이런 것이 아니겠는가?
- 바흐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프렐류드와 푸가 24번 B단조, 존 루이스(Piano)
 

2013년 8월 21일 수요일

꿈을 꾼 후에(Apres un reve)... 그리고 얀센(Jansen)

말년에 청력을 상실한 작곡가하면 생각나는 사람이 바로 ‘베토벤’이죠. 그런데 또 다른 유명한 작곡가도 있답니다. 바로 프랑스 작곡가인 ‘가브리엘 포레’입니다. 포레도 청력을 상실하기 전까지 너무나도 유명한 곡을 많이 만들었는데 그 중 오늘 소개할 곡은 ‘꿈을 꾼 후에(Apres un reve)’입니다. 처음에는 가곡으로 만들었지만 오늘날에는 피아노와 바이올린, 또는 첼로 곡으로 편곡되어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작품이 되었답니다. 흘러간 사랑에 대한 회상과 다시금 그것을 추구하려는 정열이 느껴지는 아름다운 곡인데, 원 가곡의 가사에는 중간에 이런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아~ 꿈에서 슬프게 깨어나게 되다니.. 돌아오라 아름다운이여....” 밤마다 뒤척이는 더운 여름이지만 오늘 밤은 다시 돌아가고픈 아름다운 꿈 꾸시길 바랍니다. 바이올린 연주는 요즘 잘 나가는 네덜란드 태생의 ‘야니네 얀센’ 그리고 피아노 반주는 예전 정경화, 막심 뱅겔로프 등 유명 연주자들의 반주만을 맡아 온 리투아니아 태생의 ‘이타마르 골란’입니다. 연주하는 얀센의 분신이 된 느낌으로 음악 속에 빠져봅시다...^^
 

2013년 7월 12일 금요일

J. R. Planquette와 mbc권투 시그널 음악..

어릴 적 70~80년대 mbc 문화방송에서 권투 중계 방송할 때마다 시그널 음악으로 나왔던 곡이 있었다. '쟝 로베르 플랑케트‘가 프랑스 군가로 1871년에 작곡한 ’Le Regiment de Sambre et Meuse(상브르와 뫼즈 연대 행진곡)‘이 그것이다. 프랑스 혁명 당시 농민 군대의 용감무쌍함을 그려낸 곡인데, 오늘같이 더운 날, 보스톤 팝스의 이 행진곡 연주는 나른한 오후를 깨우는 청량제이면서 아련한 옛 기억을 회상하게 해 준다...^^
http://user.chol.com/~g6546/mbc.wma

2013년 7월 11일 목요일

Ola Gjeilo 의 합창곡 Serenity..


정말 더운 날씨다.. 어느 추운 나라에 여행이라도 하고 싶은 마음이다.. 변덕이 죽 끓는 듯 하는 인간의 마음이란..ㅠㅠ 노르웨이 출신의 Ola Gjeilo(올라 예일로)가 작곡한 합창곡 ‘Serenity'는 추운 겨울날 북구 하늘의 오로라를 보고 있는 느낌이다.. 무반주 합창에 실어 나오는 고독한 첼로 선율은 5분여 동안, 제목 그대로의 ’평안함‘과 ’차분함‘을 가져다 준다. 꼭 들어보시길..
http://user.chol.com/~g6546/Serenity.mp3

2013년 6월 28일 금요일

Ich habe genug _ Bach cantata BWV 82..

벌써 한해의 반절이 지나간다.. 투입한 자원과 땀방울 가득한 열정에 비례하는 결과물은 아직 너무나 미흡하다.. 책을 펴니 한 장의 메모지가 나온다.. 이러한 고독과 눈물과 고난이 켜켜이 쌓여 표토를 이룰 때 풍작의 날은 올 거라는, 전에 형이 보내 준, 작은 메모가 눈에 띄게 들어온다.. 오늘은 바흐의 칸타타 BWV 82번이 위로가 된다.. Ich habe genug(나는 만족하나이다).. 범사에 감사하면서 살라는 바흐의 신앙고백이 오보에 소리에 담겨 전해지는 듯 하다.. 그것도 디스카우의 목소리까지 더해져... 이 분은 하늘나라에서 잘 계시는지...
http://user.chol.com/~g6546/bwv82.mp3

2013년 6월 7일 금요일

더운 날의 클래식 음악 _ Mozart Piano concerto no23

정말 더운 날씨~~ 작곡가들도 여름엔 작품을 만들기 힘들었을 듯.. 모짜르트는 자신의 걸작 오페라 중 하나인 '피가로의 결혼'을 1786년 봄에(5월) 초연하였고 이 곡을 발표하기 전년도 10월부터 그 해 4월까지 초스피드로 피아노 협주곡을 세 곡이나 작곡하였는데 바로 22번, 23번, 24번이다. 27개의 피아노 협주곡 모두 훌륭하지만 특히 이 시기의 협주곡이 정점을 이룬다. 링크한 23번의 2악장 '아다지오'는 너무나도 아름다운 피아노 선율의 물결 위에 오케스트라를 덧씌웠는데, 가만히 듣고 있노라면 더위마저도 잠시 잊게 된다. 모짜르트도 여름을 피해(?) 작곡한 이 아름다운 선율에 빠져 보시길~~^^
http://user.chol.com/~g6546/Mozart_Adagio.mp3

2013년 5월 23일 목요일

롤라 보베스코(L.Bobesco)의 비오티(Viotti)연주를 들으며..

여류 바이올리니스트를 보면 미인들이 많다. 요즘 한국에서 뜨는 '신현수'나 '클라라 주미 강'도 그렇고, 독일 사람인 '안네 소피 무터'도 상당한 미인임에 틀림없다. 예전부터 미인 대회는 루마니아 여인들이 강세를 보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루마니아 출신 바이올린 연주자인 '롤라 보베스코(L. Bobesco)'를 이 대열에서 빼 놓을 수 없다. 젊었을 때 사진을 보고 있으면 큰 눈과 오똑한 코에서 나오는 형상이 전형적인 미인이라는 생각이다. 1921년도 루마니아 태생인 이 벨기에 바이올리니스트는,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지휘자인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일찍이 파리 음악원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그리고 같은 루마니아 출신인 천재적인 피아니스트 '디누 리파티'와 듀오를 결성하여 콘서트에 참가하기도 했는데 뛰어난 실력에도 불구하고 세상에 그리 알려지지 않았고 말년에는 시력 악화로 고생하다가 2003년에 세상을 떠났다. 며칠 전부터 그녀가 연주하는 모짜르트와 비오티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들으며 흐물흐물하지 않고 명확한 음정과 프레이징에 더한 기품있는 연주에 나름 강한 인상을 받았다. 비오티(Viotti)의 바이올린 협주곡 23번의 2악장(Andate)을 들으며 하루의 피곤함을 던져 버리자~~
http://user.chol.com/~g6546/Bobesco_viotti.mp3

2013년 5월 6일 월요일

비올라의 종교적 감성... 슈베르트의 'Litanei'

[지친 마음에 안정을 주는 음악] 비올라(viola) 악기의 독주 악기로서의 무한한 가능성을 타진했던 '프림로즈(W.Primrose)'는 '하이페츠'와 함께 연주무대에도 섰던 위대한 비올리스트였다. 그는 여러 유명 작곡가의 곡들을 자신이 직접 편곡해서 비올라 독주곡으로 만들었던 작곡가이기도 했는데, 슈베르트의 가곡 Litanei(연도문)를 편곡한 'Adagio'는 모든 영혼이 평안히 쉬기를 원했던 깊은 종교적 감성이 비올라의 선율 위에 그대로 녹아 있는 곡이다. 이 곡이 오늘 모두에게 힐링이 되시길~~
http://user.chol.com/~g6546/Litany_viola.mp3

2013년 4월 26일 금요일

미성의 테너, 프란치스코 아라이자(Francisco Araiza)..

마법같은 미성의 테너, 멕시코에서 태어난 프란치스코 아라이자(F. Araiza)의 부친은 테너 가수이면서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이자 멕시코 국립 오페라단의 코러스 마스터였다. 15세까지는 음악교육을 별도로 받지 않고 아버지에게 음악과 피아노를 배웠다. 전성기가 훨씬 지나 내한공연을 와 조금은 실망이었지만, 젊었을 때 그의 목소리는 부드러운 레쩨로 테너의 전형을 보여 준다. 독일 리트는 어떨까 싶었는데 조금 과장되게 얘기하면 슈라이어와 분덜리히를 넘나드는 듯 하다. 실연당한 젊은이와 시냇물의 대화를 정말 기막히게 표현한다. 피곤한 주말에 힐링이 되시길...

블라디미르 마르티노프(V. Martynov) Come in...

정말 편안한 힐링 음악, 블라디미르 마르티노프(V. Martynov)의 음악이 그렇다. 현대음악가이면서도 한 때는 록그룹을 위해 록오페라를 작곡한 사람이기도 하지만, 러시아 정교의 종교적인 성향에 낭만적인 성격도 상당히 짙다. 첼레스타의 울림도 독특하다. '우리에게 주어진 삶이란 것은 불가능한 입구를 찾기위해 시도하는 것에 다름 아니며 우리의 모든 행동은 이 숨겨진 문을 향한 겸허한 두드림일 뿐이다. 두드려야 열리기 때문...' 마르티노프의 음악과 함께 행복한 저녁이 되시길~~
http://user.chol.com/~g6546/Come_in_2.mp3

2013년 4월 24일 수요일

캄폴리(A.Campoli)와 크라이슬러...

이탈리아 바이올린 연주자인 캄폴리(A.Campoli)는 하이페츠와  동시대의 사람이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연주자이다. 그의 연주는 성악도 아닌데 바이올린 연주의 벨칸토(Bel canto)로 통한다. 그만큼 투명한 연주이기보다는 선율이 아름답게 살아 숨쉬는 연주를 들려준다. 오늘 힐링이 되어주는 음악은 캄폴리가 연주하는 크라이슬러 작곡의 '사랑의 슬픔'이다.. 많은 위로가 되길..
http://user.chol.com/~g6546/campoli_liebesleid.mp3

2013년 4월 10일 수요일

캄캄한 밤 사나운 바람 불 때(김활란 작사, 이동훈 작곡)

가끔은 이런 식의 위로가 나에겐 필요하다...
특히 요즘 같이 힘든 날의 연속일때는....
 

2013년 3월 12일 화요일

모차르트 클라리넷 5중주 A장조 2악장 - 6분의 행복

퇴근하면서 6분의 행복을 찾으세요... 모차르트가 죽기 2년 전의 경제여건은 매우 안좋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은 천재라고해도 어려워져야 선율의 에스프리(Esprit)가 번뜩이나보다... 죽기 전에 작곡한 이 클라리넷 5중주는 기존 현악 4중주 편성에 클라리넷을 한대 더 얹은 편성으로 되어있다.. 총 4악장 중 링크한 2악장은 단 6분여의 시간이지만 잠시나마 머릿속의 아픈 기운을 없애줄것이다.. 듣다가 눈물이 흐르면 막 흐르도록 내버려둘것.. 건강에 좋다니까..^^

2013년 3월 3일 일요일

그 집앞 _ 현제명 곡

조금 우울할 때 가곡을 한 번 불러보세요..
그것도 아주 옛날 곡으로 말이죠..
추억을 되새길 때 우울함은 조금 나아지는 듯 싶어요..^^


2013년 2월 21일 목요일

푸치니 오페라 엿보기 첫번째 '라 보엠(La Boheme)

2013년 2월 21일(목) 저녁 7시30분 익산 모현도서관에서 '푸치니 오페라 엿보기' 첫번째 시간으로 오페라 '라 보엠(La Boheme)'을 자세히 벗겨(?)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파바로티가 로돌포로 등장하는 샌프란시스코 실황 영상을 편집하여 흥미있는 주제와 함께 진행합니다. 관심있는 분, 시간되시는 분들은 꼭 오세요~~^^